티스토리 뷰
영어 문법에서 ‘동사’와 ‘준동사’는 학습자들에게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둘 다 동사 형태를 가지고 있어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문장에서 완전히 다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준동사는 동사처럼 보이지만 동사가 아닌 역할을 하므로, 개념이 애매하게 남아 있으면 문장 해석이 꼬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help라는 동사는 특별한 경우인데, 준동사 중 하나인 to부정사와 동사원형을 모두 목적어로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죠. 오늘 이 글에서는 동사와 준동사의 근본적인 차이와 함께 help 동사의 특수한 사용법까지 단계별로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1. 동사(Verb)란?
‘동사’는 문장에서 주어가 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핵심적인 단어입니다. 영어에서 동사가 없는 문장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동사는 문장의 중심(본동사)이 되어, 주어와 직접 연결되어 ‘무엇을 하는지’ 혹은 ‘어떤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
동사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뉩니다:
- 일반 동사 (do, eat, study, go 등)
- be 동사 (am, is, are, was, were)
- 조동사 (can, will, must 등)
동사는 항상 문장에서 하나의 중심 동사로만 작용하며, 문장에서 핵심적인 뼈대를 담당합니다.
📗 예문
- She studies English every morning.
(그녀는 매일 아침 영어를 공부합니다.) - He is very friendly.
(그는 매우 친절합니다.)
👉 동사가 없다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 2. 준동사(Non-Finite Verb)란?
준동사는 ‘동사의 모습을 가졌지만 본동사처럼 동작하지 않는 표현’을 말합니다.
이름 그대로 ‘준(準)’ 즉, ‘거의 동사와 비슷하지만 동사는 아니다’라는 뜻입니다.
준동사는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를 직접 표현하지 않고, 대신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다른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보조적으로 문장을 꾸며주는 표현이라는 거죠.
준동사는 주로 아래 3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 To부정사 (to + 동사원형)
- 동명사 (동사원형 + ~ing)
- 분사 (현재분사, 과거분사)
이들은 모두 동사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문장에서 본동사처럼 주어와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그 대신 문장의 다른 부분을 보충하거나,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 2-1. To부정사 (To-infinitive)
To부정사는 ‘to + 동사원형’으로 구성됩니다.
이 표현은 문장에서 미래적인 느낌이나 목적, 이유, 계획, 의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행동을 언급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문장에서 명사/형용사/부사처럼 다양한 자리에 쓰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문:
- I want to study abroad.
(나는 해외에서 공부하기를 원한다.) - She hopes to get a job soon.
(그녀는 곧 직업을 얻기를 바란다.)
👉 미래지향적인 느낌(앞으로 할 행동)을 표현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 2-2. 동명사 (Gerund)
동명사는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든 형태로, 문장에서 명사처럼 사용됩니다.
그래서 동작 그 자체를 하나의 ‘행위’ 또는 ‘개념’으로 나타낼 때 쓰입니다.
동명사는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주어 자리
- 동사의 목적어 자리
- 전치사 뒤
예문:
- Reading is fun.
(독서는 재미있다.) - He enjoys playing soccer.
(그는 축구하는 것을 즐긴다.)
👉 동명사는 이미 진행 중인 활동이나 일상적인 행동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2-3. 분사 (Participle)
분사는 동사를 변형해 형용사처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동작을 직접 나타내지 않고, 어떤 사물이나 사람의 상태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분사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현재분사(-ing) :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를 묘사
- 과거분사(-ed, 불규칙형태) : 이미 완료된 동작이나 상태를 묘사
예문:
- Look at the sleeping baby. (현재분사)
(잠자고 있는 아기를 보세요.) - The broken window needs repair. (과거분사)
(깨진 창문을 고쳐야 합니다.)
👉 분사는 ‘누구’나 ‘무엇’에 대해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기능을 합니다.
▶️ 2-4. Help 동사 + 준동사 (★중요★)
Help는 일반 동사이지만, 특이하게도 그 뒤에 나오는 목적어 동작을 표현할 때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입니다.
- help + 동사원형
- help + to부정사
의미 차이는 없으며, 두 형태 모두 문법적으로 맞습니다.
단, 일상 회화에서는 동사원형 형태를 더 많이 씁니다.
이 때문에 학습자들이 help 뒤에 무엇을 써야 하는지 자주 헷갈리게 됩니다.
예문:
- She helped carry the bags.
- She helped to carry the bags.
(두 문장 모두: 그녀는 가방을 드는 것을 도왔다.) - My teacher helped me solve the problem.
- My teacher helped me to solve the problem.
(두 문장 모두: 선생님께서 내가 문제를 푸는 것을 도와주셨다.)
👉 help는 특수한 동사이므로 따로 암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3. 동사 vs 준동사 한눈에 비교표
역할 | 동작/상태 직접 표현 (문장 중심) | 명사/형용사/부사처럼 보조 역할 |
문장 내 위치 | 주어 + 동작 연결 | 다양한 자리에 등장 |
주요 종류 |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 | to부정사, 동명사, 분사 |
예시 | She eats pizza. | to eat / eating / eaten |
헷갈리기 쉬운 경우 | help + 동사원형 / help + to부정사 (둘 다 가능) |

동사는 문장에서 핵심적인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뼈대입니다. 반면, 준동사는 동사처럼 보이지만 문장에서 동작을 직접 나타내지 않고 다른 역할(명사, 형용사, 부사)을 하며 보조적인 기능을 합니다.
help 동사처럼 특수한 형태도 있기 때문에, 동사와 준동사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나면 문장을 더 자연스럽게 읽고 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문장을 볼 때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세요:
- 이 단어는 문장의 중심 역할을 하나요? (동사)
- 아니면 보조적인 역할을 하나요? (준동사)
이렇게 구분하는 연습을 통해 문법 감각을 키워가시기 바랍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아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권리 #아동권리사상 #아동권리사상의관점
- 비지니스영어이메일
- 비즈니스영어표현
- 유아교육#아동동작 #아동복지서비스
- 비즈니스영어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정책기본계획
- 유아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복지서비스
- 유아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권리협약
- 비즈니스거절하는영어표현
- 자주쓰는비즈니스영어이메일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복지 #아동복지기념 #아동복지필요성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복지법
- 영어문법 #헷갈리는문법 #영어문법동사 #영어문법준동사 #영어동사준동사차이 #영어동사준동사비교 #영어준동사 #영어동사 #영어문법help #help동사원형 #helpto부정사 #help문법 #준동사란 #help문법
- 준동사동사비교 #준동사뜻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복지의법
- 유아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권리 #아동권리사상 #아동권리 #야누스코르착 #에글렌타인젭 #소파방정환
- 직장인영어
- 자주쓰는영어이메일표현
- 유아교육 #아동교육 #아동권리
- 유아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복지서비스의분류
- 비즈니스영어 #비즈니스영어표현 #피드백요청영어표현 #피드백영어표현 #직장인비즈니스표현 #직장인영어표현
- 영어표현
- 유야교육 #아동동작교육 #아동동작교육의정의
- 비즈니스영어이메일
- 유아교육 #아동동작 #영유아보육법 #아동복지관계법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의개념
- 유아교육 #아동동작 #아동복지
- 정중하게거절하기영어
- 비즈니스영어 #비즈니스영어표현 #영어이메일 #영어이메일표현 #직장인영어 #이메일영어 #영어이메일
- #영어이메일마무리표현 #영어이메일마무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