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파헤치기/- 영어 문법
Would have vs Could have 차이 완벽 정리 | 조건문 예문으로 쉽게 이해하기
beaglemigle
2025. 8. 6. 23:25
반응형
'would have'와 'could have', 왜 헷갈릴까?
영어에서 "would have p.p"와 "could have p.p"는
둘 다 과거 상황을 가정할 때 쓰이며, 조건문(특히 3형식)과 함께 자주 등장합니다.
문장 구조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이는 의도(확신 vs 가능성)가 달라서 상황에 따라 바르게 구분해야 해요.
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와 함께, 실제 조건문 예문을 통해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Would have vs Could have 차이 분석
✅ 1. 기본 구조와 공통점
- 둘 다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p.p) 형태
- 주로 조건문 제3형식(If + had p.p)에 사용됨
- If I had known, I would have/could have helped.
✅ 2. Would have p.p
💡 “했을 것이다” – 확신 or 결과에 초점
- 의미: 과거에 어떤 조건이 충족됐다면 확실히 그 일이 일어났을 것
- 용도: 상상, 확정적인 결과, 결심 등
예문:
- If I had seen your message, I would have replied.
→ 네 메시지를 봤다면 답장했을 거야. - She would have been upset if you hadn’t apologized.
→ 네가 사과하지 않았다면 그녀는 분명 화났을 거야. - ✅ 핵심 포인트: 결과나 의지를 표현
✅ 3. Could have p.p
💡 “할 수 있었을 텐데” – 가능성에 초점
- 의미: 어떤 조건이 충족됐으면 할 수는 있었지만 실제론 하지 못한 것
- 용도: 가능성, 잠재력, 아쉬움 등
예문:
- If I had studied more, I could have passed the exam.
→ 더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할 수도 있었어. - He could have helped you if he had known.
→ 그가 알았더라면 도와줄 수도 있었어. - ✅ 핵심 포인트: 능력이나 가능성, 그러나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음
🆚 차이 비교 요약
표현의미초점실제 발생 여부예문
Would have p.p | ~했을 것이다 | 결과, 확신 | ❌ (안 일어남) | I would have gone if I had time. |
Could have p.p | ~할 수도 있었다 | 가능성, 능력 | ❌ (안 일어남) | I could have gone if I had time. |
💡 조건문 예문 비교
조건문의미
If I had left earlier, I would have caught the bus. | (확신) 더 일찍 떠났다면 버스를 탔을 거야 |
If I had left earlier, I could have caught the bus. | (가능성) 더 일찍 떠났다면 버스를 탈 수 있었어 |
의도에 맞게 표현을 골라야 자연스러운 영어가 된다
"Would have"와 "Could have"는 둘 다 과거의 조건문에서 쓰이지만, 표현하는 의미(확신 vs 가능성)의 차이가 명확합니다.
✅ would have → 확실한 결과, 의지
✅ could have → 가능성, 능력, 아쉬움
둘을 바르게 구분해서 사용하면 훨씬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영어 표현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