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파헤치기/- 영어 문법
If I had known 무슨 뜻일까? 과거를 후회할 때 쓰는 영어 조건문
beaglemigle
2025. 8. 5. 22:53
반응형
이미 지난 일을 후회할 때 쓰는 문법, If I had…?
"그때 알았더라면 그렇게 안 했을 텐데…"
우리가 과거의 어떤 일을 후회하거나 아쉬워할 때 쓰는 표현이 영어에도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문장이 바로 “If I had known…” 입니다.
하지만 이 표현은 일반 과거형이 아니라, 조건문 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형식에 속해요.
이번 글에서는 과거 후회 조건문 (Third Conditional)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주 쓰는 예문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1. 과거 후회 조건문이란?
이 조건문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쓰입니다:
이미 지나간 과거의 사실을 바탕으로, 다른 결과를 상상할 때
즉, "그때 ~했더라면, 지금 결과가 달랐을 텐데"라는 말입니다.
✅ 기본 구조
If + 주어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 have + p.p
-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이 문장은 시험은 이미 떨어졌고, 그에 대한 후회를 표현하는 겁니다.
2. "If I had known"이 쓰인 대표 예문
문장해석의미
If I had known about the meeting, I would have come. | 회의가 있는 줄 알았더라면 왔을 텐데. | 이미 회의는 끝남 (후회) |
If I had studied English earlier, I would have been fluent by now. | 영어를 더 일찍 공부했더라면 지금쯤 유창했을 텐데. | 이미 늦음 |
If she had told me the truth, I might have helped her. | 그녀가 진실을 말했더라면 도와줬을지도 몰라. | 진실은 말하지 않음 |
💡 포인트: 현실은 이미 바뀌지 않음, 단지 과거를 되돌아보며 아쉬워함
3. 비슷한 표현과 비교:
구분구조의미예시
Type 2 | If + 과거형, would + 동사원형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 |
Type 3 | If + had + p.p, would have + p.p | 과거 사실에 대한 후회 | If I had saved money, I would have traveled. |
✅ Type 2 = 현재 상상
✅ Type 3 = 과거 후회
4.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Type 3 표현들
- If I had known, I wouldn’t have said that.
→ 알았더라면 그런 말 안 했을 텐데. - If you had been there, you would have seen it.
→ 네가 거기 있었더라면 봤을 텐데. - I would have helped you if you had asked.
→ 네가 부탁했더라면 도와줬을 텐데.
🔄 실제 회화에서는 if 절이 뒤에 올 수도 있어요:
- "I would’ve helped if I had known."
If I had known = 과거 후회의 정석 표현
"If I had known"은 단순한 과거 시제가 아니라, 과거에 하지 못한 행동을 후회하거나 아쉬워할 때 쓰는 고급 표현입니다.
✅ 핵심 요약:
- Type 3 조건문은 과거에 대한 후회/비현실적 가정
- 구조는 If + had + p.p + , would have + p.p
- 회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므로 반드시 익혀두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