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사역동사 완벽 정리: make, let, have 제대로 쓰는 법
영어에서 사역동사(causative verbs)는 '누군가에게 어떤 일을 시키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입니다. make, let, have가 대표적인 사역동사입니다.
하지만 이 동사들은 일반 동사처럼 쉽게 쓰이지 않고, 뒤에 동사원형을 쓰는지, to부정사를 쓰는지, 수동태로 만들 수 있는지에서 많은 학습자들이 헷갈립니다.
오늘은 사역동사의 기본 문법부터 헷갈리는 사용법, 주의해야 할 포인트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실제 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1️⃣ 사역동사란?
사역동사는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다’ 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입니다.
즉, 주어가 직접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사역동사 3가지:
- make : 억지로 ~하게 하다 (강제성 느낌)
- let : 허락해서 ~하게 하다
- have : 부탁하거나 시켜서 ~하게 하다
2️⃣ 사역동사의 문법 구조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make | 강제로 ~하게 하다 |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 She made me clean the room. |
let | 허락해서 ~하게 하다 | let + 목적어 + 동사원형 | He let me go home early. |
have | 시켜서 ~하게 하다 |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I had him fix the computer. |
✔️ 주의:
사역동사 뒤에는 to부정사가 오지 않고 동사원형만 옵니다.
❌ She made me to clean the room. (X)
✅ She made me clean the room. (O)
3️⃣ 수동태로 바뀔 때는?
사역동사가 수동태로 사용될 경우 동사원형 대신 to부정사가 사용됩니다. 이 부분에서 많은 학습자가 헷갈려합니다.
She made me clean the room. | I was made to clean the room. |
He let me go home. | I was let go home. (let는 수동에서도 동사원형 유지) |
I had him fix it. | He was had to fix it. |
✔️ 주의 포인트
- make와 have는 수동태에서 to부정사를 사용합니다.
- let은 수동태에서도 여전히 동사원형을 씁니다.
4️⃣ 사역동사와 비슷한 표현 (헷갈리는 부분)
- get + 목적어 + to부정사 : (~하게 시키다)
- I got him to fix my car.
(get은 사역동사처럼 행동을 시키지만 to부정사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름)
- I got him to fix my car.
- help + 동사원형 / to부정사 : (~하도록 돕다)
- She helped me move the boxes.
- She helped me to move the boxes.
(둘 다 사용 가능)
👉 사역동사는 help, get과는 다르게 반드시 동사원형을 사용한다는 점을 구분해야 합니다.
5️⃣ 사역동사 예문 총정리
make | She made him finish the work. | He was made to finish the work. |
let | He let me enter the room. | I was let enter the room. |
have | I had her clean the office. | She was had to clean the office. |
사역동사는 일상 영어 회화나 시험 문법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지만, 뒤에 나오는 동사의 형태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역동사 뒤에는 동사원형, 수동태에서는 to부정사 사용 (let 제외) 이라는 규칙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정리 포인트:
- make / let /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수동태에서는 to부정사 (let 제외)
앞으로 문장에서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시키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역동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해 보세요. 영어 표현력이 한층 더 자연스러워질 것입니다.